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4

연속냉각곡선(CCT곡선) 임계 냉각 곡선, 마르텐사이트 영역 등 (1) 안녕하세요 율짓입니다. 오늘부터는 연속냉각곡선(CCT곡선)을 두 차례에 걸쳐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그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항온냉각곡선(TTT곡선) 조대, 미세 펄라이트 영역 (1) 안녕하세요 율짓입니다. 지금까지 앞서서 다뤘던 상태도의 경우 천천히 가열하거나 냉각했을 경우 일어나는 현상을 나타냈다면, 이번 시간부터는 열처리 속도에 따른 상변태 차이를 포스팅할 yuljis.tistory.com 2. 연속 냉각 (CCT 처리) ● CCT 곡선 (연속냉각곡선, continuous cooling Transformation Curve) CCT 곡선 이란 오스테나이트를 여러 속도로 연속냉각 시켜 형성된 조직을 관찰하고 분석하기 위한 변태 곡선입니다. 항온냉각의 경우 급랭 후 온도를 일정 시간 유지해야 하기 때.. 2022. 12. 22.
항온냉각곡선(TTT곡선) 항온변태 예시 (3) 어제 포스팅에 이어서 TTT곡선 해석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항온변태 예시에 대해서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① 용어 정리 ② 그래프 해석 ③ 항온변태 예시 ③ 항온변태 예시 (출처: 금속재료 서적) * a 과냉 오스테나이트를 약 650℃로 급랭 후, 수 분 동안 유지시키고 다시 상온으로 급랭한 상황입니다. 이런 경우 과냉 오스테나이트가 펄라이트 영역으로 냉각됨에 따라 오스테나이트가 펄라이트로 변태가 완료되게 됩니다. 최종적으로 미세조직은 100% 펄라이트가 됩니다. * b 과냉 오스테나이트를 약 360℃로 급랭 후, 수 시간 동안 유지시키고 다시 상온으로 급랭한 상황입니다. 이런 경우 과냉 오스테나이트가 베이나이트 영역으로 냉각됨에 따라 오스테나이트가 베이나이트로 변태가 완료되게 됩니다. 최종적으.. 2022. 12. 21.
항온냉각곡선(TTT곡선) 베이나이트, 마르텐사이트 영역 (2) 어제 포스팅에 이어서 TTT곡선 해석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베이나이트와 마르텐사이트 구역에 대해서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① 용어 정리 ② 그래프 해석 ③ 항온변태 예시 (출처: 금속재료 서적) ② 그래프 해석 * 베이나이트 구역 오스테나이트 상태의 공석강을 560℃ 이하로 냉각하게 될 경우 발생하게 되는 미세구조로 낮은 온도 때문에 더욱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많은 핵을 발생하게 됩니다. - 상부 베이나이트 (350℃~550℃) 상부 베이나이트가 형성되는 과정을 보자면, 과냉 오스테나이트에서 먼저 페라이트가 형성되고 이 페라이트 속에 있었던 탄소 원자들이 페라이트 밖으로 이동하면서 경계면에 시멘타이트를 석출 하게 됩니다. 펄라이트처럼 층상구조는 아니지만 베이나이트 구조로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가 .. 2022. 12. 20.
항온냉각곡선(TTT곡선) 조대, 미세 펄라이트 영역 (1) 안녕하세요 율짓입니다. 지금까지 앞서서 다뤘던 상태도의 경우 천천히 가열하거나 냉각했을 경우 일어나는 현상을 나타냈다면, 이번 시간부터는 열처리 속도에 따른 상변태 차이를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열처리란 강을 가열하였다가 냉각하는 작업을 이야기합니다. 특히, 강의 성질은 가열보단 냉각에 더욱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냉각 방법의 종류는 항온 냉각과 연속 냉각 두 가지가 존재합니다. 1. 항온 냉각 (TTT 처리) 고온에서 냉각하는 도중에 어떤 임의의 온도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정지하였다가 다시 냉각하는 방법입니다. 2. 연속 냉각 (CCT 처리) 고온에서부터 연속적으로 냉각하는 방법입니다. 그럼 항온 냉각과 연속 냉각을 했을 때, 금속의 성질이 변하는 현상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항온 냉각.. 2022. 12. 19.
고체 재료 내의 결정 결함 (선 결함, 계면 결함, 체적 결함) (2)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제에 이어서 결함을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1. 0차원 점 결함 2. 1차원 선 결함 3. 2차원 계면 결함 4. 3차원 체적 결함 2. 1차원 선 결함 선 결함은 크게 전위라고 할 수 있는데, 전위(dislocatiion)란 일부 원자들의 정렬이 어긋난 선 결함과 그 외에도 1차원적 결함을 모두 포함한 결함입니다. ① 칼날 전위(Edge dislocation) (출처: 재료과학과 공학 서적) 칼날 전위란 결정 내에서 원자의 잉여 반 평형면 끝 주위에서 생성되는 격자의 비틀림과 관련된 선형 결함(전위선)입니다. - 빨강 원 부분 전위선 윗부분에 위치한 원자들의 경우 압축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 검정 원 부분 전위선 아랫부분에 위치한 원자들의 경우 인장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이렇게 전위.. 2022. 12. 15.
고체 재료 내의 결정 결함 (점 결함) (1) 안녕하세요 율짓입니다. 오늘은 고체 재료 내의 결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도 두 차례에 걸쳐서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재료 내 결함이 중요한 이유는 재료의 성질이 결함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결함이라고 다 나쁜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지난번 상태도에서 다뤘던 Fe에 C를 첨가하는 경우, Fe에 C를 불순물로 첨가하여 합금을 만들어 주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 C 함유량에 따라서 강도, 경도가 상승하였습니다. 이렇듯 적절한 결함은 재료의 특별한 성질을 인위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이 됩니다. 그럼 결정 내 결함을 크게 4가지로 나누어서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0차원 점 결함 2. 1차원 선 결함 3. 2차원 계면 결함 4. 3차원 체적 결함 1. 0차원 점 .. 2022. 1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