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료공학/재료 구조8

X-선 회절 (결정 구조 파악, Bragg의 법칙)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체 재료 내에 원자나 분자의 배열, 결정 구조의 파악이 가능한 X-선 회절 분석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71557&cid=40942&categoryId=32227) 먼저 위의 파동에 대해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보강 간섭이란 두 파동의 진폭이 서로 합쳐지는 것을 이야기하고 그 반대인 상쇄 간섭이란 두 파동의 진폭이 상쇄되어 소멸하는 경우를 이야기 합니다. X-선 회절은 파동의 위상차의 결과로 일어나게 되고, 서로 보강 간섭하는 수많은 파동에 의해서 이루어집니다. X-선이 고체 재료에 투사될 때, 진행 방향에 놓여있는 원자나 전자에 의해서 산란(회절, 보강간섭)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원자.. 2022. 12. 2.
결정학적 위치, 방향, 면 (결정면) (2) 안녕하세요 율짓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결정학적 면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3. 면 (결정면) 단위정 내 면 (1 1 0)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단위정을 입방정이라고 가정하고 시작하겠습니다. 각 축의 면과 만나는 지점의 중심과의 거리를 격자 상수 a, b, c 단위로 표시합니다. a=1, b=1, c=∞ 그 후, 구해진 수의 역수를 취합니다. 1/a=1, 1/b=1, 1/c=1/∞=0 마지막으로 정수 지수를 둥근 괄호 안에 콤마 없이 표시해주게 되면, (1 1 0)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서로 평행한 면들은 동등하며 같은 지수를 가지게 됩니다. 위의 면들도 같은 방법으로 해석하시면 (0 1 1), (1 1 1)이 됩니다. (+) 족(Family) 다.. 2022. 12. 1.
결정학적 위치, 방향, 면 (점 좌표, 결정 방향) (1) 안녕하세요 오늘은 단위정 내의 특정한 위치, 방향, 면을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위치 (점 좌표) 단위정 내에 점 P의 위치를 q r s로 고려해 볼 때, q는 x좌표 a에 대한 길이 분율이고 r은 y좌표 b에 대한 분율, 마찬가지로 s의 경우 z좌표 c에 대한 분율입니다. 일반적으로 좌표의 위치를 나타낼 때, 좌표 수치 사이에 ,나 ( ) 등의 기호를 넣지 않고 'q r s'처럼 표기합니다. 예를 들어 위의 그림의 단위정을 SC(Simple Cubic)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점 A, B, C의 좌표를 읽어보자면 점 A: 1a 1b 1c → 1 1 1 점 B: 0a 1b 0c → 0 1 0 점 C: 1a 1b 0c → 1 1 0 위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2. 방향 (결정.. 2022. 11. 30.
7가지 결정계 (Crystal System) 안녕하세요 오늘은 결정 구조의 최종인 결정계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종류의 결정 구조를 단위정의 형태와 원자 배열에 따라 분류하게 되는 것을 결정계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앞 시간에 다뤘던 FCC, BCC의 경우 입방 결정계에 속합니다. 그리고 HCP는 육방 결정계에 속하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결정구조를 결정계로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정계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선 우선 격자 상수에 대해 이해해야 합니다. 단위정의 기하학적 형태에서 변의 길이를 a, b, c로 내축 간의 각도를 α, β, γ로 정의합니다. 이런 'a, b, c, α, β, γ'를 격자 상수라고 이야기하고, 격자 상수의 조합을 통해서 7개의 다른 결정계를 가지게 됩니다. (출처: http://www... 2022. 11. 29.
재료의 구조 HCP(육방조밀구조) 배위수, 원자수, 충진율(4) 안녕하세요 오늘은 HCP(육방조밀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재료공학과 과학 서적) HCP(육방조밀구조)는 상부와 하부면에 7개, 삼각기둥의 중심에 3개의 원자가 위치한 구조를 가집니다. 1. 배위수 배위수는 단위정에서 최인접 혹은 접촉한 원자의 수를 이야기합니다. HCP의 경우 FCC와 마찬가지로 12개의 배위수를 가지게 됩니다. 그래서 'HCP 배위수=12'입니다. 2. 원자의 수 우선 원자의 수에 대해 알아보자면, HCP는 상하면에 육각형 각 꼭짓점에 6개씩의 원자와 그 중심에 1개씩의 원자, 상하면의 중심 중앙부에 3개의 원자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총 6개의 원자로 구성되어있습니다. 3. 단위정 변의 길이(a)와 원자 반지름(R)의 관계 단위정의 변의 길이를 a, 원자.. 2022. 11. 28.
재료의 구조 BCC(체심입방구조) 배위수, 원자수, 충진율 (3) 안녕하세요 오늘은 BCC(체심입방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75791&cid=40942&categoryId=32251) BCC(체심입방구조)는 8개의 모서리와 입방의 중심에 원자가 위치한 구조를 가집니다. 1. 배위수 배위수는 단위정에서 최인접 혹은 접촉한 원자의 수를 이야기합니다. 예를 들어 중심 원자를 단위정 가운데 원자로 설정하였다고 가정할 경우, 주변에 8개의 원자가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다른 원자를 중심으로 잡아도 마찬가지의 결과가 나옵니다. 그래서 'BCC 배위수=8'입니다. 2. 원자의 수 우선 원자의 수에 대해 알아보자면, BCC는 각 모서리의 원자는 8개의 인접 단위정에 의해 공유.. 2022. 11.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