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율짓입니다.
연속냉각곡선(CCT곡선) 마지막 포스팅입니다.
그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② 그래프 해석
* 4, 5, 6 (펄라이트)
과냉 오스테나이트가 냉각됨에 따라
Ps를 지나게 되면서 오스테나이트→펄라이트로 상변태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Pf까지 냉각되는 동안 모든 오스테나이트가 펄라이트로 변하게 됩니다.
그 이후엔 아무 변화도 일어나지 않고 펄라이트 상태로 상온에 도달하게 됩니다.
그러나 같은 펄라이트 조직이라도 냉각속도에 따라서 경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냉각속도: 4(빠름) < 5 < 6(느림)
경도: 4(높음) > 5 > 6(낮음)
그 이유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냉각속도가 빨라질수록 공석강 속에 있던 탄소 원자들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도 짧아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냉각속도가 빠를수록 생성되는 펄라이트의 결정립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고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므로 경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 Fe-C 합금 미세조직 총 정리
* 조대 펄라이트, 미세펄라이트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가 층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조대 펄라이트에 비해 미세펄라이트는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간격이 더 얇습니다.
등온 냉각일 때 더 높은 온도, 연속 냉각일때 더 느린 속도로 진행할 때, 조대 펄라이트가 형성됩니다.
* 베이나이트
페라이트 모재 내에 늘어난 시멘타이트 입자로 이루어진 매우 미세한 조직입니다.
* 마르텐사이트
BCT 구조를 갖는 Fe-C 고용체 판상 또는 침상 입자입니다.
이것으로 TTT, CCT 곡선에 대해서 마무리하겠습니다.
다음시간부터는 열처리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연속냉각곡선(CCT곡선) 임계 냉각 곡선, 마르텐사이트 영역 등 (1)
안녕하세요 율짓입니다. 오늘부터는 연속냉각곡선(CCT곡선)을 두 차례에 걸쳐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그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항온냉각곡선(TTT곡선) 조대, 미세 펄라이트 영역 (1) 안녕하세
yuljis.tistory.com
'재료공학 > 상변태 속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속냉각곡선(CCT곡선) 임계 냉각 곡선, 마르텐사이트 영역 등 (1) (0) | 2022.12.22 |
---|---|
항온냉각곡선(TTT곡선) 항온변태 예시 (3) (0) | 2022.12.21 |
항온냉각곡선(TTT곡선) 베이나이트, 마르텐사이트 영역 (2) (0) | 2022.12.20 |
항온냉각곡선(TTT곡선) 조대, 미세 펄라이트 영역 (1) (0) | 2022.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