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료공학/상태도

2원계 상태도 납-주석(Pb-Sn) 상태도 (공정, 공석, 포정, 포석) (1)

by 율짓 2022. 12. 7.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2원계 상태도의 다양한 반응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각각의 반응식은 위와 같습니다.

그럼 하나하나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공정 반응 (Eutectic reaction)

Pb-Sn 상태도 (납-주석 상태도)

(출처: https://www.chegg.com/homework-help/questions-and-answers/pb-sn-phase-diagram-alloy-chemical-composition-alloy-90-wt-sn-200oc-q87216140)



Pb-Sn 상태도를 이용하여 공정반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공정반응이란 액상(L)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위에 표시된 공정선을 지나게 되면,

α상과 β상으로 변태 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이때 공정 구조가 가장 큰 특징인데,

공정 구조변태 동안에 동시에 생성된 α상과 β상이 교대로 쌓인 층상 구조가 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40wt% Sn일 때를 보자면,


액상①에서 점차 온도를 내려 액상선을 지나게 되면 α상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때, 공정 등온선을 통과하기 전에 형성된 α상을 초정 α상②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점차 온도를 더 내려 공정 등온선을 통과하게 되면 공정 구조가 만들어지는데

α상의 경우 초정 α상과 공정 구조 내의α상 두 가지 구조로 나타나게 됩니다.




공정 반응의 마지막으로 조성 값을 구하는 방법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조건 1: L=40wt% Sn, T=183℃ (공정선 바로 위, 공정 반응 X)

조건 2: L=40wt% Sn, T=182.9℃ (공정선 바로 아래, 공정 반응 O)


조건 1일 때,


조건 2일 때,


조건 1일 때 α상은 초정 α상이고 조건 2일 때 α상은 초정+공정 구조 α상(전체 α상)입니다.


공정 구조 α상을 구하기 위해선,

공정 구조 α상 = 전체 α상- 초정 α상 = 0.727-0.502 = 0.225

값이 나오게 됩니다.


이것으로 공정 반응에 대해 마치겠습니다.


공정 반응을 이해하시면 나머지 반응에 대해선 더 쉽게 이해가 가능하니

다음 포스팅에서는 전부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원계 상태도 구리-아연 상태도 (공정, 공석, 포정, 포석) (3)

안녕하세요 오늘도 이어서 2원계 상태도의 다양한 반응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공석 반응 (Eutectoid reaction) 공석반응이란 하나의 고상이 한 온도에서 다른 2개의 고상으로 바뀌는 현

yuljis.tistory.com

 

반응형

댓글